2025년 ISRM(정보보호위험관리사) 자격 검증

자격증의 취지를 모르겠음.

올해까지는 할인해서 시행하는 듯. 

아마 생각보다 많이 응시를 하지 않아서 그럴지도.

ISMS-P 인증심사원 공부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, 효용성 있는 자격증 같지는 않아요.

언젠가 도움이 되겠지 하는 분들은 올 해 따면 좋을 듯.

 

https://www.cq.or.kr/qh_cusgm01_003.do?inqireCn=&menuFg=&pageIndex=1&menuPg=&menuTp=m_100000001235&menuId=m_100000001236&inqireSe=1&menuTm=m_100000001235&bbscttNo=713

 

공지사항 | KCA 국가기술자격검정

2025년도 제3회 민간자격 정기검정 시행 안내 □ 시험개요  ㅇ (시행종목) 정보보호위험관리사(ISRM)/정보보호능력검정(TOLIS)  ㅇ (접수일정) 11. 17.(월) ~ 11. 19.(수), 3일간  ㅇ (시행일정) 12. 1.(

www.cq.or.kr

 

'정보보안 > 정보보호위험관리사(ISRM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SRM 가이드 문서 최종  (0) 2025.06.02
ISRM 시험 후기  (0) 2025.05.21

댓글()

[실습 파일] 마스터데이터 관리

마스터데이터 관리 실습 파일 입니다.

 

https://1drv.ms/u/c/3264a3d34d7db328/IQDheM1pzvMWSoG3-9nZSozrAQZ4OJoLT7gOPRNRhbS27oE?e=P4PA8k

 

Microsoft OneDrive

 

onedrive.live.com

 

 

댓글()

[강의록] 11_(보건의료데이터관리기술) 데이터웨어하우스

강의록 업로드 합니다.

수업에 참고하세요.

 

11_(보건의료데이터관리기술) 데이터웨어하우스.pdf
0.67MB

 

댓글()

가르치면서 알게 되는 것들 - 14

가르치다 보면 분명코 기억에 남는 아이들과 학년이 있게 마련이다.

열심히 하는 아이여서, 태도가 좋은 아이여서, 질문을 많이 하는 아이여서, 간절해 보여서, 심지어 웃기는 아이여서.

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아이는 '간절한' 아이다.

어려운 환경 아래 엄혹한 사회에 살아남기 위해 뭐든 열심히 하고자 하는 철든 아이.

먼저 나와 있다는 것 빼고는 하든 그들보다 나은게 없지만, 나는 줄 수 있는 것을 최대한 주려고 한다.

(돌려 받은 생각도 없고, 받기도 싫다.)

하고자 하는 아이 한 명 때문에 자료를 만들고 심지어 특강도 진행 적 있다.

(해봐야 관심없는 학생은 엎어져 잔다. 그런 아이들에게는 관심없다.)

자료를 건네고, 질문에 답해주고, 개인적 상담에도 기꺼이 시간 제약 없이 대답을 해주었다.

'감사합니다' 소리 외에는 내가 받을 수 있는게 없다. 소위 돈이 되는 짓은 아님을 안다.

하지만, 난 사람을 남긴다.

그들이 내게 가장 큰 자산이 된다.

바람이 불어 올 때 쯤에 '간절하게 뭐든 열심히 하는' 그들에게 

"너는 잘 되었음 한다" 라고 메시지를 보내주었다.

 

댓글()

[강의록] 10_(DBMS 활용) SQL

강의 시 사용한 PPT 파일입니다.

비번은 수업시간에 공유.

 

10_(DBMS활용)SQL.pdf
1.18MB

 

댓글()

(특강) 보건의료정보관리사 / 3

데이터베이스, 데이터웨어하우스(DW), 데이터마트

자주 출제되는 것은 한장으로 용어정리를 해두면 머리에 잘 들어온다.

암기가 중요하지만, 의미없이 외우진 말자.

 

- 의료기관의 주요 업무는 데이터베이스로 운영이 되며, 이때 사용되는 DB가  운영 데이터베이스이다. 운영DB는 실시간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분석이 어렵다

- 운영데이터베이스로부터 통계 등을 위해 읽기전용 데이터베이스로 생성하는 것인 데이터웨어하우스(DW) 

- 데이터웨어하우스로부터 패턴이나 지식을 추출하는 것이 데이터마이닝(Data mining)

 

 

댓글()

데이터거래사 안내

데이터/데이터거래사|2025. 10. 20. 17:02

데이터 거래사란?

"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록하여 데이터 거래에 관해 다음의 전문적인 업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."

라고 되어있음.

 

25년 하반기까지 1000명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, 별도의 시험은 없지만 40시간의 교육은 받아야 한다.

아무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,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.  기술사도 데이터관련 경력이 있어야 한다.

데이터거래사의 자격 및 경력 등 기준 (데이터산업법 시행령 제22조)
1. 변호사, 변리사, 공인회계사, 감정평가사 또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서 데이터 관련 분야에 종사한 경력이 3년 이상(자격 취득 전의 경력을 포함한다)일 것
2.「고등교육법」제2조에 따른 학교의 조교수 이상인 사람으로서 데이터 관련 연구경력이 3년 이상(자격 취득 전의 경력을 포함한다)일 것
3. 데이터 생산, 거래 및 활용 관련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데이터 관련 업무경력이 1년 이상(학위 취득 전의 경력을 포함한다)일 것
4. 데이터 생산, 거래 및 활용 관련 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데이터 관련 업무경력이 4년 이상(학위 취득 전의 경력을 포함한다)일 것
5. 데이터 생산, 거래 및 활용 관련 분야에서 재직한 기간이 5년 이상일 것

 

◉  아직까지는 데이터 거래사 자격을 가지고 활동할 수 는 없다. 아직은 초창기라 그렇 것 같다. 

데이터 관련은 언제든 산업화 될 수 있고, 관련 법도 생기긴 할 것 같다.

지금 당장은 유용할 것 같지는 않지만, 나중을 위해서 취득해 놓으면 좋을 것 같다.

 

 

https://datatrade.kodia.kr/

 

데이터거래사

 

datatrade.kodia.kr

 

댓글()

(특강) 보건의료정보관리사 / 2

보건의료표준은 의미만 알아두어도 괜찮다.

관련 문제는 2-3문제는 꾸준히 출제되는 편이다.

 

 


  WHO에 의한 보건의료분류표준

  - 국제질병분류 (ICD) : 질병 이환 및 사망원인을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국제표준분류체계

  - 국제기능장애분류(ICF) : WHO에 의한 생활기능과 장애에 관한 분류체계

 - 국제건강행위분류(ICHI) : 다양한 의료 행위에 대한 실태를 국제적으로 기술하고 비교하기 위해 WHO가 개발 중인 분류체계

 SNOMED-CT

 - 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정교한 참조 용어체계

  - 환자 진료의 향상을 목적으로 효과적인 임상자료의 기록을 돕고, 건강정보에 사용되는 의미를 코드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

 - EHR을 위한 전반적인 핵심용어체계를 제공

   (범위) 임상관찰, 증상, 진단, 처치, 신체구조, 유기체와 기타 병인, 물질, 의약품, 장비와 검사 대상물 등

 LOINC, 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Codes

 - 국제표준검사용어

 - 임상 관찰 및 검사 결과가 구조화된 형식으로 수집, 식별, 교환하기 위해 개발된 용어체계

 NANDA ,  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

  - 북미간호진단협회에서 개발한 간호진단용어체계

  - 건강증진, 영양, 제거/교환, 활동/휴식 등 13개의 영역과 47개 분류, 216개의 간호진단 포함

 ICNP ,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

  -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

 - 간호실무용어를 기술하고 표준화된 형태로 저장 및 국제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개발

 - 간호 실무에 사용되는 간호진단과 결과(diagnosis), 중재(intervention) 를 표현하는 진술문을 구성하기 위한 7개의 축의 모델 사용

   > 간호수행의 초점(Focus), 판단(judgement), 활동(action), 방법(means), 대상(client), 장소(location), 시간(time)

 한국보건의료용어표준(KOSTOM)

  - 임상데이터의 상호운용성 보장, 국내 의료환경에 적합한 용어체계 지원, 공공의료기관 및 중소 병원 정보화 지원의 목적으로 보건의료정보표준화위원회에서 개발

  - KOSTOM이라는 용어 대신 보건의료용어표준이라고 부르며, 매년 보완 및 개정, 관리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

 - 국내 의료환경을 고려한 용어의 집합, 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용어표준 코드를 사용하여야 함.

댓글()

(특강) 보건의료정보관리사 / 1

상호운영성(Interoperability)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중 하나.

용어와 그와 관련된 것을 숙지하면 좋을 것.

 

댓글()

[실습 파일] 12장 쿼리

카테고리 없음|2025. 10. 15. 09:22

아래 링크에서 자료 다운로드 받아 실습 진행하면 됩니다.

 

국민건강보험공단_건강검진정보_2019.csv
0.11MB
뇌졸증검사.xlsx
0.15MB
뇌졸증예측_CSV 파일.csv
0.22MB
뇌졸증예측.xlsx
0.26MB

댓글(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