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특강) 보건의료정보관리사 / 2

보건의료표준은 의미만 알아두어도 괜찮다.

관련 문제는 2-3문제는 꾸준히 출제되는 편이다.

 

 


  WHO에 의한 보건의료분류표준

  - 국제질병분류 (ICD) : 질병 이환 및 사망원인을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국제표준분류체계

  - 국제기능장애분류(ICF) : WHO에 의한 생활기능과 장애에 관한 분류체계

 - 국제건강행위분류(ICHI) : 다양한 의료 행위에 대한 실태를 국제적으로 기술하고 비교하기 위해 WHO가 개발 중인 분류체계

 SNOMED-CT

 - 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정교한 참조 용어체계

  - 환자 진료의 향상을 목적으로 효과적인 임상자료의 기록을 돕고, 건강정보에 사용되는 의미를 코드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

 - EHR을 위한 전반적인 핵심용어체계를 제공

   (범위) 임상관찰, 증상, 진단, 처치, 신체구조, 유기체와 기타 병인, 물질, 의약품, 장비와 검사 대상물 등

 LOINC, 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Codes

 - 국제표준검사용어

 - 임상 관찰 및 검사 결과가 구조화된 형식으로 수집, 식별, 교환하기 위해 개발된 용어체계

 NANDA ,  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

  - 북미간호진단협회에서 개발한 간호진단용어체계

  - 건강증진, 영양, 제거/교환, 활동/휴식 등 13개의 영역과 47개 분류, 216개의 간호진단 포함

 ICNP ,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

  -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

 - 간호실무용어를 기술하고 표준화된 형태로 저장 및 국제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개발

 - 간호 실무에 사용되는 간호진단과 결과(diagnosis), 중재(intervention) 를 표현하는 진술문을 구성하기 위한 7개의 축의 모델 사용

   > 간호수행의 초점(Focus), 판단(judgement), 활동(action), 방법(means), 대상(client), 장소(location), 시간(time)

 한국보건의료용어표준(KOSTOM)

  - 임상데이터의 상호운용성 보장, 국내 의료환경에 적합한 용어체계 지원, 공공의료기관 및 중소 병원 정보화 지원의 목적으로 보건의료정보표준화위원회에서 개발

  - KOSTOM이라는 용어 대신 보건의료용어표준이라고 부르며, 매년 보완 및 개정, 관리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

 - 국내 의료환경을 고려한 용어의 집합, 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용어표준 코드를 사용하여야 함.

댓글()